지구과학

해저지형 과 지구상 해양의 분포에 대해 알아보자.

알쓸신잡 수수 2022. 11. 4. 23:07
반응형

해저지형 에 대한 이해와 개발의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석유나, 가스, 광물들이 해저에서 발견되었다는 뉴스나 기사를 한 번씩 접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오늘은 지구상의 해양의 분포와 해저지형의 지형이 어떠한지 그리고 수심은 어떻게 측정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다.

- 목차 -

1. 지구상 해양과 육지의 분포

2. 배에서 수심을 측정하는 방법

3. 대륙 주변부의 해저 지형

 

4. 요약

 


1. 지구상의 해양과 육지의 분포

해양은 전체 지구 표면의 약 71%를, 육지는 약 29%를 차지하고 있다. 지구상에서 해양은 북반구보다 남반구에 더 넓게 분포하고 있도 해양은 태평양, 대저양, 인도양 북극해 등으로 구분된다. 태평양은 전체 해양의 약 50%를 차지하므로 가장 넓고, 평균 수심이 가장 깊다. 이는 인도양과 대서양을 합한 것보다 넓어서 대양 중 가장 크다. 해저지형 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심해저 평원이고 해양의 평균 깊이는 약 3800m이다. 육지의 평균 높이는 약 840m이다.

 

2. 수심의 측정방법

배에서 발사한 초음파가 해저면에서 반사되어 배로 되돌아오는 데 걸린 시간을 측덩하여 수심을 구하는데 이를 음향 측심법이라고 한다. 이때 초음파를 이용하는 이유는 초음파는 해류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수심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초음파의 왕복 시간이 길수록 수심이 깊으며 운항하는 배에서 음향 측심법으로 수심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해저 지형을 알아낸다.

3. 대륙 주변부의 해저 지형

음향 측심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해저 지형은 크게 육지에 가까운 대륙 주변부와 수심이 깊은 심해저 지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륙 주변부의 해저 지형은 대륙지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륙 주변부의 해저 지형은 그게 대륙붕 대륙사면 대륙대로 나누어진다. 이를 아래와 같이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 대륙붕 : 육지와 인접하고 있으면 평균 수심 200m 미만인 지형으로 경사가 매우 완만한 지형이다. 석유, 천연가스, 광물자원 등의 천연자원이 풍부하며 얕은 수심으로 인해 빙하기 때는 육지로 드러나 있었던 지역이다.
  • 대륙사면 : 대륙붕의 끝에서부터 수심 200~2000m 사이로서 경사가 급한 지형으로 전체 해양 면적의 약 6% 정도 차지한다. 대륙붕에서 대륙대쪽으로 V자형 해저 협곡이 발달해 있다.
  • 대륙대 : 대륙 사면의 끝에서 깊은 바다 쪽으로 이어지는 곳에 발달하고 경사가 완만하여 수심 2000~4000m이다. 대륙대 중 해저협곡이 끝나는 부분에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저탁암이 존재하며 태평양보다 대서양에서 잘 관찰된다.

해양의 분포와 수심의 측정방법, 해저지형에 대해  요약해보자.

오늘은 바다의 깊이는 얼마나 깊은지 또한 바다 밑바닥은 어떻게 생겼는지 수심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북반구에선 해양이 61% 육지가 약 39%를 차지하면 남반구에선 해양이 약 81%, 육지가 약 19%를 차지하며 해저를 측정하기 위해선 초음파를 이용한 음향 측심법을 사용했다. 또한 대륙 주변부의 해저지형인 대륙붕과 대륙사면, 그리고 대륙대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는 지구의 인구가 급증하며 자원 부족 문제가 생기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여전히 진행 중인 개발이니 알아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반응형